갓서블
월 1,000만 원의 현금 흐름이 발생하며 경제적 자유를 이뤘지만, 여전히 주말마다 새벽 5시 반에 일어나
수도권 부동산 현장을 누비는 10년차 직장인이다. 현재 블로그 <갓서블, 수도권 부동산 여행탐험가>를 운영하
며, 푸릉에서 부동산 지역 분석 강의를 한다.
결혼을 하며 내 집 마련과 부동산의 중요성을 느꼈고, 책을 읽으며 부동산 공부를 시작했다. 전국에 안 가본
데 없이 다 다녔고, 서울과 경기를 포함 전국 각지에 부동산 투자를 했다. 세계여행을 다니듯 7년째 전국 부동
산을 쏘다녔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추천의 글
프롤로그: 모든 부동산은 입지로부터 시작해야 한다
1장 자산을 늘리는 부동산, ‘입지’가 답이다
일자리, 의식주의 본질
일자리가 입지다
일자리가 늘어나는 지역은?
교통, 일자리와 연결
수도권 입지 포인트는 교통망이다
교통 호재를 부동산 매수에 활용하는 방법
향후 3년 뒤 입지 지각변동을 일으킬 교통망은?
학군, ‘엄마’의 마음으로
명문 학군이란?
길 하나, 아파트 동 차이로 가격이 달라진다
상권, 주거 편의성을 높인다
입지가치를 높이는 상권
입지가치를 낮추는 상권
환경, 주거환경과 자연환경
주거환경, 변화의 크기가 수요의 크기다
자연환경, 입지를 비로소 완성한다
[입지꿀팁1: 생애주기별 입지 선택 솔루션]
2장 경기도 동부권역 입지분석
성남, 모든 걸 갖춘 자족도시
천당 위 판교
천당 아래 분당, 서 · 수 · 정
호재가 많은 이매동
가성비 학군지 분당동 샛별마을
교통망 확충으로 거듭날 위례신도시
천지개벽하는 성남 구도심
하남, 서울의 일부가 되어간다
한강을 품은 미사강변신도시
스타필드가 있는 하남 구도심
송파구에 인접한 감일지구
구리, 작은 고추가 맵다
구리의 강남, 토평역 일대
구리빅4로 불리는 구리역 인근 인창동
서울과 한 정류장인 갈매지구
남양주, 10년 뒤 100만 도시가 될 곳
남양주 리딩 권역, 다산신도시
남양주의 전통강호, 별내신도시
한강이 보이는 덕소뉴타운
[입지꿀팁2: 리모델링 투자의 모든 것]
3장 경기도 중부권역 입지분석
안양, 전통적인 공업도시
경기권 최대 학원가 평촌
동안구인 듯, 만안구인 듯 비산동
만안구의 중심, 안양동
의왕, 교통호재로 안양을 넘본다
인덕원역의 후광을 받는 포일동, 내손동
인덕원동탄선이 들어오는 오전동, 고천동
자연친화적인 백운밸리 학의동
군포, 서울 접근성 좋은 1기 신도시
서울접근성 좋은 가성비 1기 신도시 산본
산본 미니 신도시인 당동, 당정동
광명, 02지역 번호 쓰는 밝고 환한 곳
교육, 행정 중심지 철산동
경기 최대 규모인 뉴타운의 광명동
광명의 시세를 견인할 일직동
군포, 서울 접근성 좋은 1기 신도시
서울접근성 좋은 가성비 1기 신도시 산본
산본 미니 신도시인 당동, 당정동
광명, 02지역 번호 쓰는 밝고 환한 곳
교육, 행정 중심지 철산동
경기 최대 규모인 뉴타운의 광명동
광명의 시세를 견인할 일직동
4장 경기도 서부권역 입지분석
부천, 경기도 인구밀도 1위
1기 신도시 중동 · 상동
외곽에 있는 부천 옥길 주택지구
김포, 한강 도시로 거듭날 도시
한강과 맞닿아 있는 김포신도시
김포 대장 걸포북변역
고양, 일산을 품고 있는 100만 특례시
1기 신도시 중 용적률이 가장 낮은 일산신도시
‘킨텍스‘에 살아요
시흥, 바라지와 산업단지의 도시
인천 생활권인 배곧신도시
은행지구와 시너지를 내는 은계지구
5장 경기도 남부권역 입지분석
용인, 일자리가 증가하는 곳에 돈이 몰린다
분당과 광교 사이 수지구청역
대표적인 대형평수 권역 성복지구, 신봉지구
분당과 같은 생활권인 죽전지구
전통 명문학군 신촌중학교의 보정동
교통 호재 GTX-A 연계노선인 신갈역, 기흥역
깔끔한 택지지구, 역북
수원, 경기의 허리라인
나, 광교 살아요
수원의 강남이었던 영통구
영통동을 뛰어 넘으려는 매탄동
신축 수요를 채워줄 신규 택지지구
서울 가는 길목의 북수원
화성, 젊은 엄마들의 워너비
학군 빼고 완벽한 동탄2신도시
삼성전자 직주 근접의 동탄1신도시
안산, 신안선의 지각변동
안산의 중심 고잔동
펜타 역세권이 되는 초지역
[입지꿀팁3: 학군 구축 vs 비학군지 신축]
6장 입지에 인사이트를 더하다
지금 살까? 기다릴까? 고민을 해결 5가지 지표
기준 하나, 주택구입부담지수
기준 둘, 전세가율
기준 셋, 공급량
기준 넷, 미분양
기준 다섯, 거래량
A 아파트 VS B 아파트를 선택하는 4단계 판단법
입지와 상품성 무엇을 선택해야 할까?
용의 꼬리보다 뱀의 머리를 잡아라
상위급지로의 이동이 무조건 정답일까?
[입지꿀팁4: 두 번의 선택으로 자산을 100배 늘리다]
에필로그: 나는 욜로족이었다
참고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