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을 퇴임한 후 경북대학교 초빙교수, 동국대학교 석좌교수를 역임하며 경제, 관광, 문화, 지방, 인구 소멸 등 당면한 국가적 과제를 연구했다. 차관, 농촌진흥청장, aT 사장 등을 역임하면서 『식품산업의 현재와 미래』, 『위기에서 길을 찾다』 등 다수의 저서를 출간했다. 현재 (사)경북문화재단 대표를 맡고 있으며 경북대학교(경제학), 서울대학교(행정학 석사), 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경제학 석사), 중앙대학교(경제학 박사)를 졸업했다.
우리나라 산업의 글로벌 비전과 문화적 경쟁력이 중요하다. 웰니스(Wellness)를 지향하는 글로벌 트렌드와 국제적 위상, 그리고 국내 산업의 특성을 반영해 ‘치유산업’의 역점 추진이 필요하다. 이미 웰니스관광, 치유농업, 산림치유, 해양치유, 정원치유, 치유음식, 심리치유, 음악, 미술, 영상 등 매체치유가 시작됐다. 한국의 많은 산과 강, 그리고 바다와 자연은 세계에서 보기 드문 치유자원이다. 한국의 치유자원에 첨단 과학기술과 문화적 경쟁력을 융복합하면 국제적 우위를 가지는 치유산업이 될 것이다. 치유산업은 지방이 경쟁력을 가진다. 치유산업을 잘 발전시켜 지방 경제를 활성화하고 지방 소멸이라는 국가적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 치유산업은 후손들에게 물려줘야 할 생존 산업이다.
들어가며
1장 치유산업이란?
1 치유산업이란?
치유와 치료
웰빙과 힐링
산업의 변화
2 치유산업의 추진 배경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급속한 고령화
탈도시 추세 증가
지방 소멸 방지
농촌 경제 침체와 농업의 영역 변화
3 한국의 치유산업 현황과 앞으로의 과제
치유산업의 개요
치유산업의 앞으로의 과제
2장 여행에서 힐링을 찾는 치유관광
1 치유관광이란?
법령상 규정
정책적 함의
2 치유관광의 출현 배경
국내 관광 시장 활성화
국제 치유관광 시장
3 치유관광의 정책 추진
국정 과제로 역점 추진
의료관광과 항노화산업 확대
최근 관광 패턴 변화에 대응
농촌 치유관광 활성화
4 치유관광산업 육성법 제정
5 치유관광의 앞으로의 과제
[치유관광에 관한 인터뷰] 장미란 | 문화체육관광부 제2차관
3장 음식에서 기쁨을 찾는 치유음식
1 치유음식이란?
2 치유음식의 쟁점과 논의 동향
치유음식의 쟁점
치유음식 토론회
정부의 추진 방향
3 음식과 식품산업에 대한 정책
농림축산식품부와 식품산업
식품산업의 주요 현황
4 식품 정책의 앞으로의 과제
4장 자연에서 건강을 찾는 치유농업
1 치유농업의 발전
출발과 인식
유럽의 치유농업
치유농업의 발전 과정
한국의 치유농업과 영역 확대
2 한국의 치유농업 추진 상황
법령 제정?제도 개선?기반 구축
치유농업 관련 연구 개발 강화
부처 간 협력과 현장 확산
3 치유농업의 사회 경제적 가치와 효과
4 치유농업의 앞으로의 과제
[치유농업에 관한 인터뷰] 장정희 | 충주시 농업기술센터 소장
5장 숲에서 행복을 찾는 산림치유
1 산림치유란?
산림치유의 추진 배경
산림치유의 수요 증대
산림 복지
2 한국의 산림과 치유의 숲
산림 현황
산림치유인자
치유의 숲
3 산림치유의 주요 정책과 프로그램
산림치유의 주요 정책
산림치유의 주요 프로그램
산림 교육과 산림치유사
4 외국의 산림치유
독일의 산림치유
일본의 산림치유
5 산림치유의 효과와 앞으로의 과제
산림치유의 효과
산림치유의 인프라 확충
연구 개발 강화와 관계 기관 협력
6장 바다에서 일상을 찾는 해양치유
1 해양치유란?
2 한국의 해양치유 여건과 주요 정책
한국의 해양 여건
해양치유의 주요 정책
3 외국의 해양치유
독일의 해양치유
프랑스의 해양치유
이스라엘의 해양치유
일본의 해양치유
4 전라남도 완도군의 완도해양치유센터
5 해양치유의 효과와 앞으로의 전망
해양치유의 효과
해양치유산업의 앞으로의 전망
참고문헌